본문 바로가기
잡담/시사리뷰

chat GPT가 알려주는 독도

by 봄이오면 2023. 5. 8.
반응형

챗GPT기사를 읽다보니까, 저도 한번 써보고 싶어서,
사용법도 궁금하고, 답변 수준도 궁금한 김에 AI와 대화해봤습니다.

 

Whose land is Dokdo?
Dokdo, also known as the Liancourt Rocks, is a group of small islets in the Sea of Japan, located approximately halfway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The ownership of Dokdo is a subject of disput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South Korea has maintained a continuous presence on Dokdo since the 1950s, and it currently administers the islets, including maintaining a small police detachment and a weather station. South Korea argues that Dokdo is an inherent part of its territory and has been under its effective control since at least the early 17th century. Japan, on the other hand, claims that Dokdo is part of its territory and calls it Takeshima. Japan argues that it had incorporated Dokdo into its territory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at South Korea's occupation of the islets is illegal. The dispute over Dokdo has been a longstanding issu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and it has caused tens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However, both countries have agreed to seek a peaceful resolution to the dispute through dialogue and negotiation.

리앙쿠르 록스(Liancourt Rocks,서양선박으로서 독도를 처음 발견한 1849년 프랑스 포경선 리앙쿠르호의 이름을 따서 붙여지면서 유럽에 알려진 명칭, 일본이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중립적 명칭을 사용한다는 핑계로 국제사회에 퍼뜨린 용어)라고도 알려진 독도는 한반도와 일본의 대략 중간 지점에 위치한 동해의 작은 섬 그룹으로, 독도 영유권 문제는 한국과 일본 사이의 분쟁 대상입니다.

한국은 1950년대부터 독도에 지속적인 주둔을 유지해 왔으며 현재 소규모 경찰 분견대와 기상 관측소를 유지하는 등 독도를 관리하고 있으며, 남한(대한민국)은 독도가 자국 영토의 고유한 일부이며 적어도 17세기 초부터 실효적 통제하에 있었다고 주장합니다.

반면 일본은 독도가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며 다케시마라고 부른다. 일본은 19세기 말 독도를 자국 영토로 편입했으며 한국의 독도 점유가 불법이라고 주장합니다.

독도 문제는 한국과 일본의 오랜 쟁점으로 양국 간 긴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양국은 대화와 협상을 통해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로 합의했습니다.

>> chat GPT에서도 동해를 Sea of Japan으로 표기하고 있더라구요.  이럴수가!!!!

그래서 또 다른 질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st Sea and the Sea of Japan?
The "East Sea" and the "Sea of Japan" refer to the same body of water located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to the west and Japan's four main islands to the east. However, the two names a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untry and its historical and political perspective. In South Korea, the body of water is called the "East Sea" because they believe that the name "Sea of Japan" is a relic of Japan's imperialistic past and does not properly acknowledge Korea's geographic and historical relationship to the body of water. South Korea argues that the name "East Sea" has been used in Korean historical records for more than 2,000 years, and is therefore a more appropriate name. In Japan, the body of water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Sea of Japan" because they argue that the name has been used internationally for more than a century and has been widely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Japan also maintains that the name "Sea of Japan" accurately reflects the body of water's location, and that the name "East Sea" is not used international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United Nations uses the name "Sea of Japan" as the standard name for the body of water. However, the UN also recognizes that some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use alternative names such as "East Sea" to refer to the same body of water.

"동해"와 "일본해"는 서쪽의 한반도와 동쪽의 일본 4대 섬 사이에 위치한 동일한 수역을 가리키지만 두 이름은 국가와 역사적, 정치적 관점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고 있음

대한민국에서는 일본해라는 이름을 일본제국주의의 유물로 여기고 한국과 수역의 지리적·역사적 관계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동해라고 부른다. 한국은 '동해'라는 명칭이 한국의 역사 기록에서 2000년 이상 사용되었기 때문에 더 적절한 명칭이라고 주장한다.

일본에서는 그 이름이 100년 이상 국제적으로 사용되어 국제 사회에서 널리 인정받았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역을 "일본해"라고 부릅니다. 일본은 또한 '일본해'라는 명칭이 수역의 위치를 정확히 반영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동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국제 연합이 수역의 표준 명칭으로 "일본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UN은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 같은 수역을 지칭하기 위해 "동해"와 같은 다른 이름을 사용하는 것도 인정하고 있습니다.

>> chat GPT도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보고 있네요. 분쟁거리가 없는데 말이죠!!!

 

what is the first document in the history of Korea to mention the East Sea?
The first known document in Korean history to mention the body of water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as the "East Sea" is the Samguk Sagi, which is a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The Samguk Sagi was compiled in the 12th century, but it contains accounts of events that occurred between the 3rd and 7th centuries AD.
In the Samguk Sagi, the body of water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is referred to as "Donghae," which means "East Sea" in Korean. The text describes the geograph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surrounding waters, including the East Sea to the east.
The use of the name "East Sea" in the Samguk Sagi and other early Korean historical records suggests that the name has been used in Korea for more than a millennium. Today, the name "East Sea" is still used in South Korea, while the name "Sea of Japan" is commonly used in Japan and internationally.

한반도와 일본 사이의 수역을 '동해'로 언급한 한국 역사상 최초의 알려진 문서는 한국 삼국시대의 역사 기록인 삼국사기입니다. 삼국사기는 12세기에 편찬되었지만 서기 3세기에서 7세기 사이에 발생한 사건에 대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삼국사기에서는 한반도와 일본 사이의 수역을 우리말로 '동쪽 바다'를 뜻하는 '동해'라고 부른다. 본문은 한반도의 지리와 동쪽의 동해를 포함한 주변 해역을 설명합니다.

삼국사기 등 한국의 초기 역사 기록에서 '동해'라는 이름을 사용한 것은 한국에서 천년 이상 사용된 이름임을 시사한다. 오늘날 "동해"라는 이름은 한국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해"라는 이름은 일본과 국제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 그래서 찾아본 역사 서적, chat GPT에서는 12세기에 편찬된 삼국사기를 언급했네요.

 

그럼 반대로 일본 역사서에는?

what is the first document in the history of Japan to mention the Sea of Japan?
The first known document in Japanese history to mention the body of water between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 Korean Peninsula as the "Sea of Japan" by that specific name is the Sankai Ibun, a Japanese geography book written in 1697 during the Edo period.
The Sankai Ibun refers to the body of water as "Nihonkai," which means "Sea of Japan" in Japanese. It describes the geography of Japan, including its surrounding seas and neighboring countries. The book also mentions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body of water to the west of Japan that had been called by various names in the past, but now known as the Sea of Japan.
It's worth noting that the term "Sea of Japan" was not widely used until the late 19th century, during Japan's period of modernization and expansion. Prior to that, the body of water was referred to by various names in different languages and by different countries.

일본 열도와 한반도 사이의 수역을 특정 이름으로 "일본해"라고 언급한 일본 역사상 최초의 알려진 문서는 에도 시대 1697년에 쓰여진 일본 지리서인 산카이 이분(Sankai Ibun)입니다.

Sankai Ibun은 일본어로 "일본해"를 의미하는 "Nihonkai"로 수역을 나타내며, 주변 바다와 주변 국가를 포함하여 일본의 지리를 설명합니다. 이 책은 또한 과거에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지만 지금은 일본해로 알려진 한반도와 일본 서쪽의 수역을 언급했습니다.

일본해(Sea of Japan)라는 용어가 일본의 근대화 및 확장기인 19세기 후반까지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그 전에는 수역이 다른 언어와 다른 국가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언급되었습니다.

>> 17세기라.. 할많하않 :)

 


챗 GPT 관련 기사를 보다가, 궁금해서 이것저것 적다보니, 자세한 설명을 얻을 수 있었어요. 
이래서 대학생들이 과제를 챗GPT에게 부탁하나봐요. 쓰다보니 너무 재밌었어요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