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미/돈버는 정보

마천루의 저주, 초고층빌딩이 완공되면 경제 불황이 온다!

by 봄이오면 2023. 9. 8.
반응형

[마천루의 저주 : skyscraper curse]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실제 사례를 통해, 마천루의 저주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초고층 빌딩은 경제위기의 신호
마천루의 저주  

마천루(Skyscraper) : 하늘을 긁을 정도로 높은 건물 

1999년 도이체방크의 분석가 앤드루 로런스가 100년간 사례를 분석해 내놓은,
초고층 빌딩은 경제위기를 예고하는 신호 역할 한다는 가설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는 초고층 빌딩 건설 프로젝트는 주로 돈줄이 풀리는 통화정책 완화 시기에 시작되지만,완공 시점엔 경기 과열이 정점에 이르고 버블이 꺼지면서 결국 경제 불황을 맞는다

세계 초고층빌딩 순위, 세계의 마천루

초고층 빌딩의 정의와 특징

세계초고층도시건축학회(CTBUH, Council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에서는,
초고층 빌딩은 최소 높이 150m(490피트)로 정의하고 있음 

우리나라 건축법에는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을 고층으로,
건축법 시행령에서는 층수가 50층이상이거나 높이가 200m 이상인 건축물을 초고증으로 정함

세계의 100개 도시에 150m 이상의 고층빌딩은 518개로, 
홍콩, 중국 선전, 미국 뉴욕, UAE 두바이, 인도 뭄바이, 중국 상하이, 일본 도쿄 등에 밀집되어 있음

 

1931년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높이 381m)

미국 뉴욕에 크라이슬러 빌딩과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이 세워질 무렵,
세계 대공황이
 시작되었음

세계 대공황

  • 1918년에 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전쟁에 참여했던 유럽이 어려움에 빠지고, 자본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국이 세계시장을 주도해 나가고 있었음
  • 1929년 10월 미국 증권 시장에서 주가가 대폭락하며 미국 경제 공항 시작 
  • 경제가 어려워지자 소비가 줄었으며, 소비가 줄어들자 공장이 문을 닫는 기업 도산 발생
  • 1933년에는 노동자가 실업자가 되며 미국의 실업률이 33%에 달함
  • 공업공황 뿐 아니라, 농업부문(농산물 가격 폭락, 가축 파기 등)과 금융부문(오스트리아 은행 도산 등)까지 이어짐
  • 세계 대공황은 1929년 시작되어 1939년까지 이어짐

 

1971년 세계무역센터(각각 높이 415m, 417m)

1973년  쇼크 동안에 1973년 세계 무역 센터와 시어스 타워졌으며, 
이 시기 오일쇼크로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함

오일쇼크 

  • 1973년 10월 제 4차 중동전쟁 반발 
  • 산유국들의 가격인상으로, 배럴당 2.9달러였던 원유의 가격이 4달러를 돌파 
  • 1974년 1월엔 11.6달라까지 오르는 폭등
  • 주요 선진국들에서는 두 자릿수 물가상승과 마이너스 성장이 겹치는 전형적인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 대한민국의 경우 1973년 물가상승률은 3.5%였던 반면, 1974년 24.8%로 급상승하고, 성장률은 12.3%에서 7.4%로 하락함
스태크플레이션(stagflation) :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

일반적으로,  불황기에는 물가가 하락하고 호황기에는 물가가 상승하지만, 
최근 호황기에는 물론 불황기에도 물가가 계속 상승하여, 이 때문에 불황과 인플레이션이 공존하는 사태가 나타나는 현상이 나타남

경기정체기에도 소비자물가는 만성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고, 그 외에도 군사비나 실업수당 등 주로 소비적인 재정지출이 확대되는 등, 물가상승이 계속해서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함

 

1997년 페트로나스타워(높이 451.9m)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르에 있는 페트로나스타워가 세워질 무렵,
아시아 경제위기(금융위기)가 발생함

다만, 첨탑 높이가 건축물 높이로 인정됨에 따라 451m로 가장 높으나, 실제 첨탑을 제외하면 379m로 윌리스 타워보다 낮기 때문에 기준의 모호함이 존재함

아시아 금융위기  

  • 1997년 7월 시작되어 세계 경제에 불안을 야기한 아시아에의 금융 위기 사태 
  •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태국 등에 영향을 줌
  • 대한민국의 경우, 1997년 한보철강의 부도를 시작으로, 기아그룹, 한신공영 등의 대기업들이 연쇄부도를 일으킴
  • 1997년 12월 환율이 1달러당 2천원으로 폭등하는 등, 대한민국의 국가 파산을 야기함
  • 당시 대통령(김영삼)이 국제통화기금에 구제금융을 신청, 1997년 12월 3일부터  IMF가 시작됨
  • 세계 금융위기로 전개되지 않고 1998년 진화 
IMF(국제통화기금 : International Monetary Fund)

환율과 국제 수지를 감시함으로써 국제 금융 체계를 감독하는 것을 위임받은 국제 기구

대한민국에 IMF 체제가 시작된 이후, 
구조조정의 여파로 실업자와 문을 닫은 공장이 속출했고 1998년 대량실업사태가 발생하였음

2001년 8월 23일 IMF 구제 금융 3년 8개월만에, 1억 4천만달러를 상환함으로써 IMF체제에서 벗어났으나,
경제불황은 한동안 계속 이어졌음

 

2004년 타이베이101[타이베이금융센터](높이 509 m)

한때 아시아의 선진권 국가였던 대만이,
2000년대 들어서며 주력산업인 IT 버블이 붕괴되고 2008년 국제 금융위기를 겪음

 

2009년 부르즈 할리파(버즈 칼리파, 높이 828m)

아랍에미레이트 두바이의 부르즈두바이에서 부르즈 할리파로 개칭
지상층에서 최고층(141층)까지 초고속 엘리베이터로 약 1분이 걸리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인공구조물로, 
신도시 사업의 일환으로 2004년 착공, 2009년 10월 완공되었음

2007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서 비롯된 세계적 금융위기가 겹쳐 투자 자본이 빠져나가면서,
2009년 국영기업인 두바이월드가 모라토리엄(채무상환유예) 선언하는 등 재정난이 시작됨

모라토리엄(moratorium)

채무이행이 어려워지게 된 경우, 국가의 공권력에 의해서 일정기간 채무의 이행을 연기 또는 유예하는 일
(주체가 국가일 때 사용되는 단어)

채무의 추심이 강행되면 기업의 도산이 격증할 수 있어, 일시적으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응급조치로 발동함

제1차 세계대전 후의 독일이 배상금을 분할 지급하고 있었는데, 나치스로 독일정치가 불안정해지고 외국 단기자본의 인상과 유출이 격화되며 독일은행이 차례로 도산하던 사례에서, 트랜스퍼 모라토리엄이 1933년 발동됨으로써 독일은 괴멸 직전에서 가까스로 회생할 수 있었음

 

한국의 마천루


1) 롯데월드타워(555m) :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

2) 해운대 엘시티 더샵 랜드마크 타워(412m) 

3) 해운대 엘시티 더샵A(338m)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아파트

4) 해운대 엘시티 더샵B(333m)

4) 파크원 타워A(333m) 

5) 포스코타워-송도(313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