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담/건강리뷰

건강리뷰 : 어린이 구내염과 수족구, 전염기간과 잠복기

by 봄이오면 2023. 8. 22.
반응형

여름철만 되면 찾아오는 어린이 수족구와 구내염,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여름철 전염성 질병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계실거예요.
특히 영유아(0세~6세)들이 자주 걸리며, 만 7세 이후에는 잘 나타나지 않아요, 

                                                                 구내염과 수족구 

수족구와 구내염 차이

수족구란?

주로 영유아가가 콕사키 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

 

수족구 증상

가장 먼저 나타나는 수족구병의 증상은 발열, 인후통, 식욕부진 및 피로감 등입니다. 

발열 1~2일 후에, 입 안의 볼 안쪽, 잇몸 및 혀에 작은 붉은 반점이 나타나며,
손, 발 및 엉덩이에 피부 발진이 발생하고, 붉은 반점이 수포로 변할 수 있습니다. 

팔과 다리, 특히 팔꿈치와 무릎 등 접히는 부분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 

 

수족구 치료기간

수족구에 걸린 사람들에게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경미하게 걸린 경우에는, 발열과 작은 붉은 반점이 생기다가 저절로 없어지기도 합니다. 

보통은 그 증상이 경미하여 대개 7~10일 내에 저절로 없어집니다. 

어린 영아의 경우, 드물게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뇌간 뇌척수염, 뇌염이나 회색질척수염과 같은 마비증상, 신경성 폐부종, 폐출혈, 심근염, 심장막염, 쇼크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수족구 잠복기 및 전염성

수족구에 노출되어 약 3~7일간의 잠복기 후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수족구 증상 발현(발열, 붉은반점 등) 후 약 7일간은 전염성이 강하며,
특히 수포가 생겼다면, 수포가 터지는 기간동안 전염 가능성이 높아 외부 활동은 삼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족구 치료제

수족구는 특별한 치료제가 없습니다. 

발열이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해열 진통제를 사용하거나, 
입 안 궤양으로 음식을 섭취하기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정맥용 수액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가족 내 수족구 격리

영유아 시기를 지나면 수족구에 잘 감염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간혹 어른으로 전염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가정 내 수족구 환자가 발생하면,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장실 사용 후, 또는 코와 목의 분비물이나 진물을 저촉한 후에는 반드시 비누로 손씻기를 철저히 해야하며, 
비말이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 기침 시에도 조심해야합니다. 

 

구내염이란?

입 안 점막에서 발생하는 염증 질환을 통칭하는 명칭입니다. 

흔히 이야기 하는 '입 안이 헐었다', '입 안에 구멍이 났다' 는 구내염을 의미합니다.

 

구내염 잠복기 및 전염성 - [감염성 구내염]과 [비감염성 구내염]

감염성 구내염은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의 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며,

비감염성 구내염은 자가 면역, 외상, 영양 결핍, 고령, 폐경, 방사선 조사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구내염 발생 현황

 

구내염 증상

단순 구내염의 경우 감기와 비슷한 증상과 함께 입안 점막, 입술, 혀, 잇몸 등에 작은 수포가 생깁니다. 

그러나 수족구로 인한 구내염의 경우, 미열, 인후통, 기침, 설사, 두통, 복통이 동반됩니다. 

 

구내염 치료

구강 병변에 관련된 통증과 자극에 대한 증상을 줄이기 위하여 진통제,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거나, 
자가 면역에 관련된 증상 악화를 치료하기 위하여 국소ᆞ전신 스테로이드와 면역 억제제를 사용합니다. 

비타민 B12나 철분 등의 영양소 결핍으로 인한 구내염에 원인이 되는 영양제를 보충하기도 합니다. 

감염성 구내염의 경우, 원인균을 확인하여 처방받은 약을 복용해야 하고, 
비감염성 구내염의 경우, 성인은 알보칠이라는 치료제가 있지요 ;)

 

구내염 격리

아프타 구내염은 전염되는 질환이 아닌 비세균성 질환으로, 격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포진이 생긴 구내염이나 수족구로 동반되는 구내염, 등은 전염성이 높이므로 반드시 격리가 필요합니다. 

우리아이가 어떤 증상인지 헷갈린다면, 의사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으셔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